유엔이 한·일 정부의 위안부 합의를 공개비판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7일 성명에서 "(한·일 합의는) 피해자 중심의 해결방식이 아니었다"며 "일본은 공식적 사과와 피해자가 만족할 수 있는 완전하고 효과적인 보상과 배상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1일에는 유엔 인권이사회가 인권 수호를 위해 임명한 '특별절차'(the Special Procedures) 중 하나인 '법률과 현실의 여성차별 문제에 관한 실무그룹'의 엘레오노라 지엘린스카 수석보고관 등 3명이 "일본 정부는 유엔 여성차별철폐위 권고를 지체없이 이행하라"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한국 정부가 위안부라는 역사적 사실과, 오랫동안 정의를 갈망해온 생존자들을 상징하는 소녀상을 혹시라도 없앨 것인지 깊이 우려된다"고 밝혔다.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입장은 난감해졌다. 반 총장은 한·일 정부 간 합의가 나온 직후 성명을 내고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리더십과 비전을 높이 평가한다며 환영했다. 일본도 유엔 여성차별철폐위 성명을 비판하는 근거로 반 총장의 환영 성명을 들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 “위안부는 성노예”
ㆍ한·일 정부 합의 내용 공개 비판ㆍ인권이사회는 “소녀상 철거 우려”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