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를 두고 대립했던 미국과 중국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의 회동을 통해 접점을 찾는 분위기다.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가 중국을 움직인 것으로 해석되며, 사드배치를 기정사실화했던 정부의 대응이 섣부르고 안이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회동하고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대한 논의를 벌였다.AFP통신 등에 따르면, 케리 장관은 이날 왕 부장을 만난 뒤 "(대북제재 결의안 논의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수일 내 합의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왕 부장 역시 "중요한 진전을 이뤘으며 결의안 초안에 합의를 본 뒤 가까운 시일 내에 이를 (유엔 안보리에서) 채택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미측과 적정 수위의 합의가 이뤄졌음을 확인했다.이는 당초 안보리의 대북제재에 미온적이었던 중국 정부의 입장이 상당수준 미국이 원하는 수준의 제재에 다가선 것으로 해석된다.한국은 어디에도 안 보이네요.

美-中, 사드와 대북제재 '딜'..사드 서둘렀던 韓 궁색한 처지
(서울=뉴스1) 조영빈 기자 = 대북제재를 두고 대립했던 미국과 중국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의 회동을 통해 접점을 찾는 분위기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가 중국을 움직인 것으로 해석되...
원글보기